전체 글
-
-
TypeSafe navigation 에서 '/' 을 포함할 수 있는 객체의 직렬화 시 주의해야합니다IT/android 2025. 3. 4. 17:10
Android navigation 시스템에서 TypeSafe 를 정식으로 지원하게 되면서 현재 진행중인 사이드프로젝트에도 도입을 해보았습니다.그런데 Route 객체 내부에 Primitive 타입이 아닌 Object 를 넣고 라우팅 처리를 할때 특정상황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오류문구는 다음과 같았습니다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Navigation destination that matches route com.lanpet.free.navigation.FreeBoardCommentDetail/01JNFSERY5NJAVR9JZNKNSBYHW/{"id":"01JNG2R9XJDZANT33HCV2E1JA5","profile":{"nickname":"gpffh1","profil..
-
Clean architecture is not Data - Domain - Presentation일상/Everything 2025. 2. 25. 16:51
https://markonovakovic.medium.com/clean-architecture-is-not-domain-data-presentation-e368d7ff8579 Clean Architecture is not Domain-Data-Presentation.I am writing this as Android and Flutter developer and this is what I’ve observed happening over past few years regarding architecture.markonovakovic.medium.com클린아키텍쳐를 따르면서 작업하고 있다라고 생각했던 저의 안드로이드 사이드프로젝트가 시간이 가면 갈수록 오히려 생산성을 낮추고 변경이 발생할때마다 전체 모듈을 변..
-
멀티스레딩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쟁상태 해결의 경우 왜 많은 라이브러리들이 Synchronized 를 사용해 임계구역을 설정함으로써 해결하고 있나요?IT/cs 2025. 2. 15. 16:37
멀티스레딩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 중에는 대표적으로 경쟁상태가 있습니다.경재상태란 하나의 공유자원에 여러 스레드가 접근하여 값을 변경하는 경우에 해당 공유자원에 대한 기대했던 값과는 다른 값의 불일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경쟁상태를 해결하는 여러 방법이 있는데요, 대표적으로1. Synchronized 를 사용한 임계구역 설정2. Atomic 연산을 지원하는 클래스를 활용3. Mutex or Semaphore 을 이용한 스레드 Lock 관리 가 있습니다. 먼저 의문이 들었던것은 Synchronized 보다 Atomic 연산을 제공하는 클래스를 활용하는것이 더 간단하고 가독성도 좋을것 같은데 왜 사용하지 않는걸까? 였습니다.그 이유는 바로 Atomic 연산을 제공하는 클래스는 단 ..
-
-
DevFest Jeju 참여 후기 25.1.5일상/Everything 2025. 1. 7. 14:05
원래 DevFest 송도를 참여할 계획이었는데 독감에 걸리는바람에 가지 못하였습니다. 여전히 취준생활 중이라 남는게 시간이기때문에 다른 세미나를 찾던 도중 제주에서 열리는 DevFest 를 알게되었고 참여해보기로 하였습니다. 사실 3개월정도 취준생활 하면서 놀러가기도 애매한 상황이 많기도 했고 새해와 생일이 겹쳐있어 세미나 들을겸, 리프레쉬 겸 놀러왔습니다. 1월 5일 제주대학교 산학협력관에서 진행되었으며 다양한 세션이 준비되어 있었습니다.GCP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기Firebase Baas 를 활용한 서비스 제작기우아한형제들 모바일 개발 프로세스Snow 오픈소스를 활용한 AI 서비스 아키텍쳐 Orchestration그밖의 개발자 이야기들사실 저는 여전히 모바일 개발에 관심이 많았기때문에 강경완님의 모바..
-
Kakao Tech meet 24.12.18일상/Everything 2024. 12. 18. 23:18
카카오 테크밋에서 AI 와 Front-end 를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기에 다녀왔습니다.제가 관심있었던 분야는 AI 가 아닌 프론트엔드관련 주제였고, 특히 '디자인과 API 없이도 개발을 시작하는 방법' 이라는 주제는 모바일 개발자 (프론트엔드) 로서 자주 마주치고 고민했던 문제였기 때문에 관심이 많이 갔습니다. 하지만 다른 AI 주제들도 발표를 들으면서 카카오에서 굉장히 다양한 시도와 성능 개선을 위한 노력들을 하고있다는 것을 알게되었고 AI 관련 업무에서의 관심사가 어떤것인지도 대략적으로나마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먼저 첫 발표인 'AI Agent 기반 스마트 AI 마이 노트' 는 사내에서 업무평가를 조금더 자동화하고 잘 정리할 수 있을까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한 업무평가 도구였습니다...
-